[무료 SQLD 문제] 데이터 모델링 이해와 SQL 기본 및 응용 무료 SQLD 예상 문제 1일차
매일매일 푸는 SQLD 예상 문제 1일차
데이터 모델링 이해
1. 다음 중 제2정규형(2NF)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?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어야 한다.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부분 종속될 수 있다.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이행적으로 종속되어야 한다.
- 기본 키가 단일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.
SQL 기본 및 응용
2. 다음 SQL 문이 수행하는 것은?
SELECT first_name, last_name, COUNT(*) as num_orders
FROM customers c
JOIN orders o ON c.customer_id = o.customer_id
GROUP BY first_name, last_name
HAVING COUNT(*) > 5;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각 고객의 주문 수를 계산하고 주문 수가 5개 이하인 고객만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각 고객의 주문 수를 계산하고 주문 수가 5개 이상인 고객만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고객의 이름과 주문 수를 계산하여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주문 수가 가장 많은 고객을 표시한다.
3. 다음 SQL 문이 의미하는 것은?
SELECT *
FROM products
WHERE price BETWEEN 100 AND 200;
- 가격이 100 이하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200 이상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100에서 200 사이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100과 200을 제외한 제품을 조회한다.
4. 다음 SQL 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SELECT department_id, SUM(salary)
FROM employees
GROUP BY department_id
ORDER BY department_id;
- 각 부서의 총 급여를 계산한다.
- 부서 ID를 기준으로 그룹화한다.
- 부서 ID를 기준으로 결과를 정렬한다.
- 부서별 평균 급여를 계산한다.
5. 다음 SQL 문이 수행하는 것은?
INSERT INTO employees (employee_id, first_name, last_name, hire_date)
VALUES (1001, 'John', 'Doe', '2023-06-01');
- 기존 직원의 정보를 갱신한다.
- 직원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한다.
- 직원 테이블에서 특정 행을 삭제한다.
- 직원 테이블에서 특정 행을 조회한다.
데이터 모델링 이해 정답
1. 다음 중 제2정규형(2NF)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?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어야 한다.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부분 종속될 수 있다.
-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이행적으로 종속되어야 한다.
- 기본 키가 단일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.
=====
정답: 1.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어야 한다.
설명: 제2정규형(2NF)은 제1정규형(1NF)을 만족하면서, 기본 키의 부분 집합에 종속되는 부분적 종속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. 즉, 모든 비식별자가 기본 키 전체에 완전히 종속되어야 합니다.
SQL 기본 및 응용 정답
2. 다음 SQL 문이 수행하는 것은?
SELECT first_name, last_name, COUNT(*) as num_orders
FROM customers c
JOIN orders o ON c.customer_id = o.customer_id
GROUP BY first_name, last_name
HAVING COUNT(*) > 5;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각 고객의 주문 수를 계산하고 주문 수가 5개 이하인 고객만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각 고객의 주문 수를 계산하고 주문 수가 5개 이상인 고객만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고객의 이름과 주문 수를 계산하여 표시한다.
-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주문 수가 가장 많은 고객을 표시한다.
=====
정답: 2.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한 후, 각 고객의 주문 수를 계산하고 주문 수가 5개 이상인 고객만 표시한다.
설명: 이 SQL 문은 고객 테이블과 주문 테이블을 조인하고, 각 고객의 이름과 주문 수를 계산하여 주문 수가 5개 이상인 고객만 결과에 포함시킵니다.
3. 다음 SQL 문이 의미하는 것은?
SELECT *
FROM products
WHERE price BETWEEN 100 AND 200;
- 가격이 100 이하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200 이상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100에서 200 사이인 제품을 조회한다.
- 가격이 100과 200을 제외한 제품을 조회한다.
=====
정답: 3. 가격이 100에서 200 사이인 제품을 조회한다.
설명: BETWEEN 연산자는 지정된 범위 내의 값을 선택합니다. 여기서는 가격이 100과 200 사이에 있는 제품을 조회합니다.
4. 다음 SQL 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SELECT department_id, SUM(salary)
FROM employees
GROUP BY department_id
ORDER BY department_id;
- 각 부서의 총 급여를 계산한다.
- 부서 ID를 기준으로 그룹화한다.
- 부서 ID를 기준으로 결과를 정렬한다.
- 부서별 평균 급여를 계산한다.
=====
정답: 4. 부서별 평균 급여를 계산한다.
설명: 이 SQL 문은 각 부서의 총 급여를 계산하고, 부서 ID를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부서 ID를 기준으로 결과를 정렬합니다. 부서별 평균 급여를 계산하지 않습니다.
5. 다음 SQL 문이 수행하는 것은?
INSERT INTO employees (employee_id, first_name, last_name, hire_date)
VALUES (1001, 'John', 'Doe', '2023-06-01');
- 기존 직원의 정보를 갱신한다.
- 직원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한다.
- 직원 테이블에서 특정 행을 삭제한다.
- 직원 테이블에서 특정 행을 조회한다.
=====
정답: 2. 직원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한다.
설명: INSERT INTO 문은 새로운 행을 테이블에 삽입하는 SQL 명령어입니다. 여기서는 직원 테이블에 새로운 직원을 추가합니다.
2일차 문제 풀기 ★
[무료 SQLD 문제] 정규화, SELECT문, 조인 함수, 집합 연산자, 그룹 함수 무료 SQLD 예상 문제 2일차
매일매일 푸는 SQLD 예상 문제 2일차 데이터 모델의 이해1. 다음 중 제3정규형(3NF)에 해당하는 조건을 모두 고르시오. (2개)모든 비프라이머리 속성이 기본 키에 이행적 함수 종속을 가지지 않는다
darakbang-study.tistory.com
댓글